분석을 통해 어떤 골격적인 문제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필요합니다. 먼저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 분석을 기준으로 진단을 하기보다는 임상 안모 평가를 기준으로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 분석 수치를 확인하는 역방향의 진단 과정이 중요합니다.
치료과정
이 환자의 문제 목록은 안모 분석에서 웃을 때 잇몸의 과노출 및 턱끝의 전방 성장 부족, 턱끝의 전방 성장부족으로 인한 돌출입으로 설정하였습니다. 방사선 사진 분석에서 상악골의 경미한 전방 과성장, 하악골의 전방 성장 부족, 수직적 과성장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치아 모형 분석에서는 경미한 총생 및 II급 key 관계, 상악 치아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하악에 비해 큰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 분석을 토대로 치료 목표는 먼저 최대한 상악전치의 토오크를 유지하면서 후방 및 함입이동을 시키고, 상악 구치부도 함입 이동시켜 상악 전체 치열의 압하 및 후방이동을 계획하였고 하악 치열의 경우 전치부의 함입 및 직립(uprighting) 후방이동, 하악 구치부의 전방이동을 통한 발치 공간 폐쇄를 계획하였습니다. 이를 통해서 상악 스마일 아크(smilearc)의 훼손없이 잇몸의 노출을 줄이고, 상악전체 치열의 압하 후방 이동을 통한 수직적 조절로 인해 하악골의 전상방 자동회전(mandible autorotation)을 유도하였습니다. 이러한 수직적 문제를 해결하여 환자가 편하게 입술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치료의 목표입니다.
브라켓 종류
MBT prescription .022 slot Clippy-C
사용한 호선 순서 – 양악 모두
.016 NiTi, .016x.022 NiTi, .019x.025 NiTi .019x.025 SS로 진행하였습니다.
치료 과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그림 설명을 참고 바랍니다. (그림1~그림 14)
상하악전치부 모두 부가적으로 10~20°의 순측토오크를 추가하여 최대한 상하악 절치의 정상 치축각도를 유지하였습니다.
상악 전치 치열에 대한 역학은 그림5와 같이 전체적으로 후상방의 교정력이 치열에 가해지도록 구성하였습니다. 돌출입 환자에서 측모 개선을 위해서는 최대한 상악 전치는 정상 치축 각도를 유지하면서 치체 이동의 형태로 발치공간을 폐쇄해야 합니다. 상악 구치부의 압하, 하악 구치부의 직립 (uprighting) 및 압하를 통해 하악골이 반시계 방향으로 전상방회전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최대한 턱끝의 전방이동이 나타나야 측모개선에 유리하기 때문입 또한 이러한 역학적 조절을 통해 lip incom니다. petency의 개선되어 연조직 턱끝이 증대되는 softtissue augmentation과 유사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